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겉은 화려하지만 속은 악마가 숨어있는 대기업의 농업진출

춘종 2018. 9. 6. 10:20

지금 마지막기회를 잡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20년안에 삼성기업이 운영하는 대한민국으로 바뀔 것입니다.

국민연금도 삼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삼성이 가지지 못한 한가지가 있습니다.

그것이 농업이였습니다.

그러나 이제 삼성은 이미 농업에 진출했습니다.

이제 삼성은 대한민국의 모든 것을 가질 것입니다.

대기업이 성장했던 것은 처음에 조미료, 식품, 가공품에서 전자제품, 자동차, 조선, 건설

물류 유통 이마트, 홈플러스등 모든 것을 다가져 갔습니다.

그러나 오직 한가지 가지지 못한 것이 있었습니다.

그것이 바로 농업생산이였습니다.

그러나 이미 대기업은 농업에 진출해 있습니다.

이제 기업형농업이 성공하면 대한민국의 국민은 시민이 아니라 하인 노예로 전락하는 것은 얼마남지 않았습니다.

시골에서 농사를 짓는분들은 소작농으로 전락하는 것입니다.

과거에 조선시대 땅을 받은 개국공신들이 지방토우가 되고 많은 땅을 소유함으로써 주변 사람들은 모두 소작농으로 전락하게 되었던 것이죠.

결국 자신들이 생산한 대기업 농업생산품이 아니면 자신들이 유통시키지 않을 것입니다.

법을 만들어도 이렇게 저렇게 해서 법망을 빠져 나가든지

아니면 종편TV나 언론을 통해서 뿌릴 것입니다.

앞으로 대통령이 당선되면 삼성 재벌들한테 머리숙이고 인사하는 날 얼마남지 않았습니다.

그러면서 자신들은 마약에 취해살고 수많은 여성들을 농락할 것이고 과거 조선시대 왕 옆에 내시, 궁녀가 수발하듯이 그들은 그렇게 살것입니다.

미국정부가 유대금융회사를 어떻게 할 수 없듯이 말이죠.

왜 혈맥을 중요시하는 유대인과 혈맥을 중요시하는 한국사회에서 자신들만의 혼맥등으로 연합한 재벌세력은 그냥 한번에 쓰러질 세력도 아닙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mMvnhHsv4A


대기업들에 농업진출을 찬성하는 언론들...


세계일보...

◆대기업 농사 참여하나?→대체로 사실 아님

지난해 정부의 혁신성장 8대 선도과제로 지정된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축사나 비닐하우스·과수원의 생육환경을 원격·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농장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4월 청년창업농 양성과 농업 분야 기술혁신을 위해 2022년까지 전국 4곳에 스마트팜 혁신밸리 거점을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에는 임대형 스마트팜을 포함한 대규모 스마트팜 단지는 물론이고 청년 교육과 취·창업을 지원하는 창업보육센터, 기술혁신과 농작물 생산·유통·연구를 지원하는 연구기관과 실증단지 등이 한곳에 들어선다.

지난 2일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지역으로 선정된 경북 상주시와 전북 김제시의 경우 KT와 팜스코 등 20여개 기업이 함께 사업에 참여한다. 이들은 스마트팜에서 농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실증단지에서 연구하겠다는 계획서를 제출했다. 애당초 농식품부는 사업 공모 계획을 안내할 때 기업이 직접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의 사업 계획서는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상주·김제시의 스마트팜 혁신밸리에 모두 참여하는 KT는 스마트팜에서 작물을 재배하면서 쌓은 데이터를 활용해 스마트팜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나선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로 농작물 과잉 공급되나?→전혀 사실 아님

스마트팜 혁신밸리에 반대하는 농민들은 스마트팜 혁신밸리 4곳이 조성되면 토마토와 파프리카 등 시설재배 작물이 늘어나 생산과잉으로 폭락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2016년 LG CNS가 새만금 산업단지에 여의도 4분의 1 면적(약 76.2㏊)에 스마트팜을 세우려고 했을 때 농민들이 반대한 요인 중 하나가 공급과잉 문제였다.

그러나 LG CNS의 스마트팜과 달리 1곳당 20㏊ 규모로 들어서는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새로운 농장을 모두 짓는 것이 아니라 기존 노후 시설농가의 현대화와 연구단지, 창업보육 기능이 모두 들어가 실제 작물을 생산하는 스마트팜 면적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 조성하려던 40㏊ 규모의 원예시설단지를 조성하지 않는 대신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선정한 것이라 정확하게 말하면 시설재배 면적이 새롭게 늘어나는 것이 아니다”며 “설사 스마트팜에서 농작물 생산물량이 늘더라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함께 수출시장 개척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창훈 기자 corazon@segye.com



대숲사업단, 대기업 농업 진출 반대 집회
추연안 기자  |  newsdy@hanmail.net





승인 2018.08.20  13:00:51
   
 

대숲연합사업단(회장 이동환) 회원 40여명은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공원에서 정부의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 중단을 요구하는 집회에 참가했다.
이 회장은 “사업을 추진할 경우 대기업이 농업에 진출하는 길이 열려 농산물 경쟁과 과잉공급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이어져 중소 영세농이 큰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며 “정부와 국회는 중소농을 죽이고 대기업만 살찌우는 사업의 중단 발표와 예산 심의를 거부하라”고 요구했다.


“기업형 돈사 신축 안 돼” 청송 주민 500명 반대집회

  • 배운철기자
  • 2018-08-23                               

업체 “초현대식…환경오염 없어”


[청송] 기업형 돈사 신축 인허가(영남일보 8월7일자 9면 보도)를 둘러싸고 업체와 주민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청송군농민단체협의회로 구성된 반대추진위원회는 22일 청송군청 주차장에서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농장비를 대동한 반대집회를 가졌다. 이들은 “돈사 신청지역이 슬로시티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항일의병기념공원 등이 위치한 곳으로 6만두 이상 돼지사육은 천혜의 자연환경 파괴와 청정농산물 이미지 및 정신문화 훼손 등 각종 부작용을 유발시킨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청송군 측은 “주민들이 원하지 않을 경우 돈사 신축을 절대 허가하지 않겠다”면서 “새 군수 취임 이전 허가난 곳도 행정절차를 통해 취소처분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또 “현 조례를 대폭 강화한 새 조례를 개정해 추진되는 인허가에 적용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돈사 신청자 측은 “문제 지역들이 직선거리 500m 이상 떨어져 있어 마을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면서 “악취·돈분 처리시설은 네덜란드형 초현대식 무방류정화시스템으로 시공돼 냄새 등 환경오염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려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허가 취소·폐쇄 명령 등 법적 조치를 받겠다”며 강력한 추진 의사를 나타냈다.

허가된 4동에 대해 청송군이 반대측의 의사를 받아들일 경우 사업자 측과 법정다툼으로 이어질 전망으로 돈사를 둘러싸고 시위가 끊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청송군 등에 따르면 지난해 농업법인과 개인사업자가 청송군 내 6개 지구에 22개 동의 돈사 인허가를 신청했으며 지난 6월까지 4동이 허가됐고 나머지는 추진 중이다


출처 : 프리메이슨 연구모임(프.연.모)
글쓴이 : 루파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