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스웨덴은 곧 세계최초의 현금없는 사회가 된다 [번역:레프트사이드]
황종운님의 글을 좀 조사해 보다가 흥미로운 뉴스를 알게 되어 해당 기사를 번역해 봤습니다..
["전세계가 짐승의 표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http://cafe.daum.net/yoonsangwon/S9Wz/258 ]
출처: http://www.sciencealert.com/sweden-is-on-track-to-become-the-world-s-first-cashless-society
Sweden is on track to become the world's first cashless society
(스웨덴은 곧 세계최초의 현금없는 사회가 된다.)
Brilliant. (글쓴이?)
BEC CREW (BEC 멤버?)
16 OCT 2015 (기사 작성일)
- 번역 by 레프트사이드-스테인리스 (이메일 sos4sos@riseup.net 다음카페 생존시대 [생존의 기술] 2016-02-06)
Sweden is set to become the first cashless society in the world, researchers report, crediting the shift towards electronic-only transactions to a new mobile payment system called Swish, which facilitates real-time deposits with no minimum spend.
(스웨덴이 세계최초의 현금없는 사회가 될 예정이라고 연구자들은 보고하는데, 이와 같은 전자금융 전용 사회로의 진입은, 최저 필요결제액 없이 신속한 송금이 가능한, 스위쉬(Swish)라고 하는 새로운 모바일 결제시스템 덕분이라고 한다.)
"Cash is still an important means of payment in many countries' markets, but that no longer applies here in Sweden," says Niklas Arvidsson from Stockholm's KTH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Our use of cash is small, and it's decreasing rapidly."
("아직도 대부분의 나라들에서는 현금이 여전히 중요한 지불수단이지만, 이곳 스웨덴에서는 예외입니다" 라고 스톡홀롬 KTH 로얄 기술연구소의 니클라스 아르비트슨은 말한다. "우리는 현금을 잘 사용하지 않는데, 그 사용비중이 아주 빠르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Right now, there's less than 80 billion Swedish crowns in circulation (about EUR8 billion) and Arvidsson says out of that, only 40 to 60 percent is actually still in regular circulation. The remainder has been buried in people’s backyards, in their sock drawers, or is being used for criminal activity. To give you an idea of how quickly the Swedes are rejecting cash, just six years ago, that figure was up around SEK106 billion.
(현재 800억 스웨덴 크라운(약 80억 유로)에 못 미치는 현금이 유통되고 있으며, 아르비트슨에 의하면 그 중 단 40 ~ 60퍼센트만 실제 정기적으로 유통되고 있다고 한다. 나머지 현금은 사람들의 뒷마당에 숨겨져 있거나, 양말 서랍 속, 혹은 범죄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스웨덴 사람들이 현금사용을 얼마만큼 기피해 왔는지 쉽게 설명하자면, 6년전만해도 스웨덴에서 유통되는 현금이 약 1060억 스웨덴 크라운이었다. )
There are a couple of main factors that appear to have contributed to Sweden’s rapid swift towards electronic-only transactions. Not only have businesses done away with the 'minimum spend' rule when it comes to EFTPOS and credit card transactions, but there’s been a huge uptake of mobile app called Swish, which is the result of a collaboration between several major Swedish and Danish banks.
(스웨덴이 전자금융 전용 거래방식으로 신속히 전환할 수 있었는 데는 크게 2가지 요인이 작용했다. 첫째, 실시간 송금결제 방식을 사용할 때와 신용카드 결제를 사용할 때, '최소 필요결제액' 규칙을 없앴고, 대여섯 개의 스웨덴과 덴마크 은행들이 협력하여 제작한 스위쉬라는 모바일 앱 사용의 폭발적 증가가 있었다.)
The app allows for real-time transactions to take place, with users able to transfer money straight from their bank account to anyone else with a bank account, whether they’re at a restaurant, in a cab, or at the flea market. According to Arvidsson, the Swedes love Swish so much, it’s already revolutionising the local banking system, with several major banks refusing to accept cash at all, and as of late last year, four out of every five purchases in the country were being made electronically.
(이 앱을 통해서 사용자들은, 레스토랑, 택시, 벼룩시장 등 언제 어디서고 실시간으로 자신의 은행계좌에서 타인의 은행계좌로 송금이 가능하다.)
"Swedes are pretty trusting and we’re used to embracing new technology so this was the perfect solution," Pia Stolt from Situation Stockholm, a local street paper sold by homeless vendors that made itself Swish-friendly early on, told The Guardian late last year. "The cashless society campaign we’re seeing in Sweden is definitely a good move as far as we are concerned - it’s unstoppable."
("스웨덴 사람들은 의심보다는 서로간에 쉽게 신뢰하는 경향이 있고 새로운 첨단기기를 쉽게 받아들이기 때문에 스위쉬는 완벽하게 훌륭한 시스템이었죠" 라고 노숙자들이 판매하는 지방 길거리 일간지, 시츄에이션 스톡홀롬의 피아 스톨트가 지난해 말 영국 가디언지와의 인터뷰에서 말했으며, 시츄에이션 스톡홀롬 일간지는 초창기부터 스위쉬 결제방식에 맞춰서 발행했었다.)
The other factor at play is the country’s crackdown on money laundering and organised crime, which has set so many guidelines in place about cash use, most people just opt for Swish or bank cards.
(또 다른 요인은 조직적 범죄와 돈세탁에 대한 정부의 단속인데, 이때 현금사용과 관련한 엄청나게 많은 규율이 제정되는 바람에 대부분의 스웨덴 시민들이 스위쉬나 신용카드를 선호하게 되었다.)
"At the offices which do handle banknotes and coins, the customer must explain where the cash comes from,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aimed at money laundering and terrorist financing," says Arvidsson, adding that if any cash transactions are considered 'suspicious' by bank staff, they're required to file a police report.
("지폐와 동전을 취급하는 (은행)점포에서 현금으로 결제하려면 그 현금의 출처를 설명해야만 하는데, 돈세탁과 테러리스트 자금을 규제하기 위해 생겨난 각종 규칙들 때문이지요" 라고 아르비트슨은 말한다. 덧붙여, 아르비트슨은, 은행직원이 판단했을 때 의심스러운 정확이 포착되면 의무적으로 경찰에 신고도록 되어 있다고 말했다.)
"In general, the rule of thumb in Scandinavia is: 'If you have to pay in cash, something is wrong,'" writes Mikael Krogerus for Credit Suisse.
("일반적으로 스칸디나비아 지방에서는, "누군가 현금으로 결제하려 한다면, 뭔가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취급해버린다" 고 마이켈 크로게루스는 월간지 크레딧 스위스에서 언급했다.)
While Sweden is closer than any other country on Earth towards the goal of cashlessness, there are some major challenges to overcome first. Besides a possible uptick in cybercriminals trying to access bank servers and parents having to figure out how to responsibly give their 10-year-old child access to a debit card, pensioners who are unfamiliar with the technology, and those who don’t have access to it will continue to use cash in the near future, and cannot be discriminated against for doing so. Arvidsson points to a recent survey that showed two-thirds of Swedes think carrying cash is a human right, whether or not they actually want to do it.
(스웨덴이 지구상 그 어느 나라보다도 현금없는 사회에 더 가까이 다가선 건 맞지만, 우선적으로 극복해야 할 문제들도 만만치 않다. 은행 서버를 해킹하려는 사이버 범죄의 증가와 더불어, 열 살 짜리 아이에게 어떻게 해야 지혜롭게 현금카드를 사용하도록 가르칠지 고민하는 부모들과 첨단 기기에 익숙치 않은 고령의 연금수령자들, 그리고 당분간은 은행에서 그런 최신방식의 결제서비스를 등록하지 못하는 처지의 사람들이 계속 현금을 사용한다고 해서 차별해서는 안 될 것이다. 아르비트슨은 최근 조사결과에서 스덴웬 시민 3분의 2가, (실제로 그들이 현금 사용을 원하든 원하지 않든) 현금을 사용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권리라고 생각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We like having our own currency and it fits in with the identity of being a Swede; we’re even releasing new banknotes in 2015," he told Helen Russell at The Guardian. "So people like to know their cash is there, even if they don’t necessarily use it."
("우리 스웨덴 사람들은 스웨덴 지폐를 소유함으로써 스웨덴 국민임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2015년에도 새 돈을 찍어내고 있습니다" 라고 영국 가디언지의 헬렌 러셀에게 그는 말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람들은 자신들의 돈, 현금이 그곳 어딘가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에 안도합니다. 비록 굳이 그 현금을 사용할 필요가 없더라도 말입니다."
Read these next: (다음 기사도 읽으세요)
* Sweden is building the world's first carbon-negative data centre (스웨덴이 세계최초로 탄소 무배출을 넘어 탄소 흡수(?) 수준의 데이터 센터를 건설한다) 덜덜덜
* Sweden sets its sights on becoming the world's first fossil fuel-free nation (스웨덴이 세계최초로 화석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국가로 진입할 청사진을 제시한다) 헉..... -_-;;;;;;;
* Sweden is shifting to a 6-hour work day (스웨덴은 이제 하루 6시간 근무 규칙을 시행할 것이다) 아.... 헬조선은.. ㅜㅡ;;;
- 번역 by 레프트사이드-스테인리스 (이메일 sos4sos@riseup.net 다음카페 생존시대 [생존의 기술] 2016-02-06)
http://cafe.daum.net/yoonsang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