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건설업계의 현실 ㄷㄷㄷㄷㄷㄷㄷ<有>
춘종
2014. 7. 3. 11:45
건설업계의 현실 ㄷㄷㄷㄷㄷㄷㄷ<有>

참여연대나 선대인 경제연구소장 등의 분석을 보면
"건설사 줄도산은 시간 문제다.. 시기와 파괴력이 문제"
라고 합니다.
시공능력 상위 10대 건설사만 해도
국내에선 답을 못 찾아서
해외 현지 수주를 통해 활로를 찾고 있는 상황...

이명박정부 때
글로벌 금융위기, 매매가 급락, 부채비율 악화, 미분양 속출 등으로
절반 정도는 정리됐었어야 할 건설사들이
지방 마다 돌아다니며 (부산이 대표적)
신규 아파트 붐을 일으켜 가격을 띄우고는 치고 빠지고,
4대강 사업으로 긴급 수혈을 받고 수명이 연장됐습니다.
기업은행 등을 중심으로 한 은행업계도
부실채권 등을 정리해서
자기자본비율을 맞추고, 건전성을 높여야 하는데
정부의 압박 때문에
건설업체의 부실채권 정리도 못하고,
대출도 제때 못 돌려받고...
건설업체들.. 정부의 비호 아래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로 어찌어찌 버티긴 했는데,

<박근혜정부>가 들어 선 이후로도
적자 행진이 계속되고
계속 아파트 미분양이 나니까
돈이 안 돌아서 새로 뭘 짓지도 못함;;;;
오피스텔 바람을 일으켜 보긴 했는데
이판사판 공사판으로 뛰어드는 바람에
물량이 갑자기 급증해서
미분양 사태가 터져 버림 ㄷㄷㄷㄷㄷ

이미 짓고 있는 걸 물릴 수도 없고, 어쩝니까?
다 지어서 헐값에라도 팔아야지..
결국 돈맥이 굳어 버려서
진흙탕 속으로 점점 빠져들게 됐고....

한국은행의 건설업 재무지표 자료를 보면,
수익성 쪽에서 엉망진창입니다 ㄷㄷㄷㄷㄷㄷ
-- 도표가 작아 안 보일 것 같아서 따로 적어 봄.
-- 이런 도표는 꼭 빈대 내장만 하게 만들어 놓음.. 잡 것들.
자기자본비율:
2012년 33.0%
2013년 32.3%
매출액 증가율:
2012년 3.6%
2013년 0.7%
매출액 세전 순이익률:
2012년 -3.4%
2013년 -4.8%
자기 자본 순이익률:
2012년 -11.9%
2013년 -12.2%
이자 보상 비율:
2012년 40.1%
2013년 -65.1%
현금 흐름:
2012년 6.7%
2013년 -4.4%
-- 유형자산 증가율은
-- 보유 부동산의 일시적 가격 상승 등으로 늘어날 수 있고,
-- 바로 사고 팔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논지에서 제외시켰음.
정부에서는
건설업계 살려준다고
다주택 보유자에 대한 전매제한을 풀어 줌 ㄷㄷㄷㄷㄷㄷ
'투기하라~~~'
친朴의 중심인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자리 꿰차자 마자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제한 크게 줄이는 걸 검토 ㄷㄷㄷㄷㄷㄷ
'빚 엄청나게 당겨서 아파트 샀다가 망해도 니들 책임'
거기다가
아파트 건설할 때 소형 평수 의무 시공하는 제도를 폐지시킴 ㄷㄷㄷㄷㄷ
'건설사 너님 마음대로 하세요~~'
설상가상
1990년대...
바닷 모래 사용/ 철근 빼돌리기/ 부실 시공 문제가 크게 일어나
공무원이고 건설사 직원이고, 수백 명 줄줄이 구속됐을 때
지어진 노후 아파트들에 수직 증축 허용 ㄷㄷㄷㄷㄷㄷㄷ
'니들이 죽지, 우리가 죽냐'
가장 큰 문제는..
건설사들이 부도 나면
2차~3차 업체들, 간접적으로 관련된 업체들이 직격탄을 맞고
그 여파가 시장에 영향을 미쳐서 서민들에게도 영향이 온다는 겁니다.
물론,
시공업체 파산으로 아파트값이 떨어져
LTV가 급변하는 바람에
하우스푸어들, 전세금 날리는 서민들도 급증할 거구요.
상처가 이렇게 썩어 문드러지고 있는데
정부는 계속 대일밴드만 갈아 붙이는 꼴..
기가 찰 노릇이죠;;;
이걸 메이저 언론사들이 크게 이슈화를 시키지 않고 있음.
일반인인 내가 자료 쭈욱 봐도
건설업계가 엉망진창에 너무나 위험한 상태인데
자칭 "언론인"이란 자들이 부끄러운 줄을 모르고...!!
한겨레나 경향, 오마이, 민중의소리, 미디어오늘, 뉴스타파
등에서 기사가 종종 나오긴 하지만
일반인들이 잘 보질 않으니 더 답답..;;;;
MrComplain2014-07-01 19:29:28
여기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바보분들이 많군요. 건설시장이 문제이지만 제일 큰건 부동산문제죠. 건설업이 집만 짓는게 아닙니다. 지금 망해가는 건설사는 다 아파트하다가 망하는거죠.
출처 : nothing
글쓴이 : nothing 원글보기
메모 :
플래쉬백2014-07-01 18:02:55
추천 : 4
시장원리에 따라 싹 정리되야 답이 나옴;
생뚱니발2014-07-01 18:03:15
royksopp♥2014-07-01 18:03:26
장동건乃2014-07-01 18:03:34
▶고소한짬밥2014-07-01 18:03:53
데코스2014-07-01 18:04:15
플래쉬백2014-07-01 18:04:23
추천 : 1
이거~아실만한분이2014-07-01 18:04:28
나때는 안되 하고 ㄷㄷㄷ
▶◀하늘수.42014-07-01 18:04:41
군산타이거즈2014-07-01 18:05:39
추천 : 4
지 죽을자리 지가 파는격임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단순하게
1.공사 수주로 한계가 있음-지네가 시행시작함-미분양크리뜸-망함
2.공사 수주로 한계가 있음-지네가 시행시작함-분양 대박-또 시행함-망함
3.공사 수주로 한계가 있음-지네가 시행시작함-분양 대박-그래도 해외로 눈돌림(흔히 말하는 대기업)-어느정도 중박
*결론은 단순하게 시행맡아서 하는 현장 2~3군데만 미분양 생기면 그 회사 잣되는겁니다
[5DMarkⅡ]Laz2014-07-01 18:05:40
메롱꾼2014-07-01 18:06:13
추천 : 2
건설회사중에 제대로 돈관리하는 회사가 몇이나 될지요...
돈벌때 건실하게 쌓아두고 회사 역량을 키우지 못한 댓가라고 봅니다.
자업자득이며 망할회사는 망해야한다고 봅니다.
중견기업이라고 하지만 사무실만 있고 하도급질만 하는 건설회사가 널리고 널린걸로 압니다.
▶◀revolution▶◀2014-07-01 18:11:23
추천 : 2
문제는 줄도산의 여파가 일반 서민들에게 돌아온다는 겁니다;;;
서민들이 일자리를 잃고, 집값 하락으로 피해를 보고,
월급이 오르지 않아 생활고에 시달리고...
그래서 줄도산 만은 막아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입니다.
근데 지금 정부가 하는 방식이면 더 곪아 터진다는 거구요.
주3일근무2014-07-01 18:06:42
515224번째회원2014-07-01 18:06:50
추천 : 2
근데 그것보다 더 무서운게. 서민들 세금 공중으로 다 날려버림.
이건. 세누리니 민주당이니 그런 문제가 아님
▶◀revolution▶◀2014-07-01 18:37:16
업체를 탈탈 털어 정리하고 쪼갠 뒤,
건실한 중견 건설업체들이 입찰방식을 통해 나눠갖도록 하는 건데...
부실업체들이 정관계에 엄청난 로비를 해서 공적자금을 수혈 받으니..
매번 악습이 되풀이 되는 거겠죠.;;;
후라시요2014-07-01 18:33:56
[♩]샤넬No.72014-07-01 18:34:27
추천 : 3
[♩]샤넬No.72014-07-01 18:33:57
하우두유두??2014-07-01 18:35:02
신군382014-07-01 18:35:59
추천 : 3
10년이나 집값이 기었으니 이제 폭풍처럼 집값오를꺼라는
한심한 소리를 하는 세상인데요 뭐
파란하늘112014-07-01 19:08:38
현 주택 보급율인 1:1이 넘었죠^^
문제는 1세대가 다가구를 가지고 있다는게 문제입니다.
집값이 내려간게 아니라 더 내려가야 한다고 봅니다.
님 말씀처럼 집값이 오를거라는건 한심한 소리죠^^
-아립-2014-07-01 18:36:21
추천 : 2
황금기때 우후죽순 늘어난 업체가 너무 많으니 정리되는건 당연한건데 억지로 버티고 있는건데
순서대로 자빠지겠죠. 경기도나 신도시권 아파트들 가격이나 영향받지, 강남이나 서울 인기지역 아파트값은 요지부동.
그리고 부산도 오히려 신축아파트는 공급부족인 상황.
▶◀revolution▶◀2014-07-01 18:55:46
추천 : 1
그리고 부산의 신축 아파트도
소형 평수, 중소업체의 착한 분양가 아파트나 공급 부족이지
대형 평수는
가격 할인 많이 해주는 방식으로 밀어내기하거나 (부산 명지 엘크루 블루오션)
'선입주-후분양' 방식으로 물량을 빼거나 (부산 화명동 롯데캐슬 카이져)
미분양인 경우도 허다합니다.
부산의 전체 아파트 가격은
2011~12년에 평균 25% 선까지 크게 올랐다가 최근에는 5%대로 완전히 빠졌어요.
국토교통부 공시를 보면,
부산 아파트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0.5% 수준
전국 아파트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0.4% 수준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40429010017085
♂▒♨▒♀2014-07-01 19:38:53
PowderDream2014-07-01 18:36:48
정부에서도 한방에 빵 터지느니
꼴지부터 차례차례 뻗어나가는 그림을
희망하는게 당연한 거겠죠.
대일밴드라도 안붙였다가 진짜 큰일 날지도...
▶◀revolution▶◀2014-07-01 18:57:04
starless2014-07-01 18:37:08
그 논리가 틀린 건 아닌데,
정작 이렇게 틀어막는걸 언제까지 할 수 있을까요? 한 10년은 버틸 수 있을까요? 과연?
케리아2014-07-01 18:55:52
여럿 죽을텐데...
▶◀revolution▶◀2014-07-01 19:00:11
rulru12014-07-01 18:37:29
인생공수래공수거2014-07-01 18:37:46
[No.12]썬탱2014-07-01 18:39:28
정치권도 죽을맛;; 건설사도 죽을맛...
쟁찬™2014-07-01 18:41:22
추천 : 1
거지처럼2014-07-01 18:44:34
추천 : 2
4디맨2014-07-01 18:44:55
베르나인2014-07-01 18:45:51
[클로토]2014-07-01 18:47:08
▶◀revolution▶◀2014-07-01 19:01:21
국내 사정이 이러니, 해외 플랜트 쪽으로 도전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클로토]2014-07-01 19:03:44
이리저리 준비중이긴 하네유 ㅠㅜ
▶◀revolution▶◀2014-07-01 19:07:06
그러면 면접볼 때도 더 좋은 인상을 줄 수 있고요.
젊음이 무기니까 두려워 하지 말고 도전하세요. 좋은 결과 분명히 있을 겁니다^^
▶◀황소의기상2014-07-01 19:43:47
차라리 해양 플랜트쪽이 좀 낫습니다.
-포스코쪽 플랜트 실무자입니다..
adrenaline2014-07-01 18:48:07
추천 : 1
나라 망할것 같이 떠들면서 세금 갖다 부을거고..
결국 털리는건 국민들뿐...
소혹성12242014-07-01 18:48:09
▶◀revolution▶◀2014-07-01 19:05:35
재기 불가능에 빠질 서민들이 너무 많다는 겁니다. IMF외환위기 때 처럼..
한국의 시장구조 - 복지시스템이 너무나 취약하니까요.
정작 처벌 받아야할, 책임져야할 넘들은 죄다 도망가고.. 발 빼버리고..
서민들은 훨씬 더 강력한 충격파에 나가 떨어지고.. 죽어 나가고...
위암극복!!!딸둘아빠2014-07-01 18:51:22
법인의세상2014-07-01 18:51:38
추천 : 1
BearHugger2014-07-01 18:54:19
▶◀revolution▶◀2014-07-01 19:08:42
예전보다는 메롱~이라고 해도요.
[D1X]시린파랑2014-07-01 18:55:22
▶◀revolution▶◀2014-07-01 19:10:58
골이 깊으면 산이 높다는 말도 있잖아요?
훨씬 편하고 좋은 날이 꼭 올 겁니다.
찍어둘걸2014-07-01 18:58:53
[♩]뼛속까지자게이2014-07-01 19:00:37
추천 : 3
실제 무너질 건설사들 세금으로 그만큼 연명하게 해줬으면 됐다고 생각합니다.
아픈 수술을 받아야 낫죠. 수술 안받으면 몸 전체가 썩어 문드러질겁니다.
色水河高十語2014-07-01 19:01:48
Wa Uoo2014-07-01 19:02:29
이형사♂2014-07-01 19:04:25
어차피.. 권력자들은 그딴 거 신경 안쓰니까요...
뷰파인더보기2014-07-01 19:04:27
수전노2014-07-01 19:05:38
추천 : 4
그리고 부실시공은 너무 크게 확대해석한듯ㄷㄷㄷㄷ
▶◀revolution▶◀2014-07-01 19:16:12
추천 : 4
1990년대 아파트 부실시공 사례들, 싹 다 찾아다가 캡쳐해 올렸으니 보세요.
내가 근거도 없이 멋대로 확대해석한 건지...
부실 시공 적발됐다고 기사 뜬 건만 수백 건이었음.
http://www.slrclub.com/bbs/vx2.php?id=free&no=31141270
▶◀revolution▶◀2014-07-01 19:23:56
추천 : 2
3억에 분양 받은 아파트가 시장가 흐름에 물려 2억 5천까지 급락했을 때,
대출해 준 은행이 선순위 채권자이기 때문에
대출금 갚기도 버겁던 집 주인은 가만히 앉아서 집 내줘야 되요.
이게 얼마나 위험한 규제 완화인지 모르시는 군요;;;;
참여정부가 오만 쌍욕을 먹으면서도
LTV, DTI 규제 강화해서 안전망 쳤었는데,
참여정부의 한미FTA 정책을 열나게 까는 진보학자들 조차도
"저건 잘한 일"이라며 인정하고 칭찬합니다.
adrenaline2014-07-01 19:33:57
2008년 미국 사태가 대표적이죠.
과도한 빚은 반드시 문제를 일으킵니다.
Han2014-07-01 19:06:52
ehera2014-07-01 19:07:24
서울엔 지을곳이 없어서 못 지음 ㅎㅎㅎ
archflow2014-07-01 19:09:00
Never_Lost2014-07-01 19:09:39
한국판 서브프라임모기지론 사태 같은게 생겨 봐야 정신을 차리죠...,
KLoze2014-07-01 19:10:34
추천 : 4
여기서 이런저런 대화 나누고 있지만 건설회사 노조원들이 가스통 들고 건물이나 현장 옥상이나 그런데 가서 죽네 사네 하면 아마 딴 소리들 하고 있을겁니다.
어차피 폭탄 돌리기 아닌가요? 현정부 전정부 욕할 필요도 없죠. 당시에 시장에 맡겼으면 후유증도 크지 않았을겁니다.
▶◀revolution▶◀2014-07-01 19:27:13
추천 : 1
그 시장에 맡겨 뒀다가 무슨 사단 나라고요;;;;;
업계 중에서도 가장 썩어 문드러진 게 건설업계입니다;;;
【아이유】2014-07-01 19:11:12
9가지비타민2014-07-01 19:11:40
추천 : 1
근본적인건 비자금 조성을목적으로 건설을하니..
시장논리와 정반대로 논다는게...문제...
다 엎고 로비관계 다 파헤쳐서 정리하는게 답인데..
그러기도 힘듬..
파란하늘112014-07-01 19:12:16
추천 : 1
솔직히 너무나도 많은 건설사들이 있습니다.
현재 주택보급율인 1:1이 넘었죠.
한가구가 1주택이 넘는데 문제는 1가구가 너무나도 많은 다가구를 가지고 있다는게 문제죠.
거기다 너무나도 높은 분양가 이거 때문에 더더욱 미분양이 속출하는거죠.
계속 이런식이면 줄도산하는 업체들 속출할겁니다.
줄도산으로 오는 여파가 아주 상당할텐데......특히 빚내서 분양 받는 사람들이 없었으면 합니다.
써니사랑심2014-07-01 19:12:37
옹골총각2014-07-01 19:14:02
71년식한국남자2014-07-01 19:16:18
추천 : 1
누가 알았겟어 사고 잔뜩?는데 경기가 그렇게 안좋을지. 누가 알았겠어 몇년후 사기쳐서 부당대출 받아서 난장 ?는데 대출금 상환을 못하게 될지.
돈.지.랄하다 저렇게 된것 저것들은 그냥부도내고 다시 건설사 만들면 되요.
큰놈 부도내고 없어지면 작은놈 몇놈이 생기고 좀 살만해지면 큰놈이 하던 사기 다시 쳐요
IMF때 기업부도 지금의 기업부도 뭐가 다른가요.? 년도만 다르고 명칭만 다를뿐 과정은 다른거 하나도 없어요
71년식한국남자2014-07-01 19:19:17
추천 : 1
과연 규제완화인가요.? 사기치기 좋게 만들어주는게 아니고.?
경제사범 정당의 경제 정책의 결과가 이것이죠 그리고 계속되는 안전사고들.. 아직도 끝난거 아니고 대형 안전사고, 기업들 문제는 계속 됩니다.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규제완화를 열심히 외쳐대는 만큼
직화냄비2014-07-01 19:16:39
오늘의여행2014-07-01 19:18:34
집값은 떨어져야 정상이고 부실기업은 정리되어야죠.
지금 30대 이상의 경제인구들이 자기돈 날아가는 게 싫어서 정부가 더 저러고 있은거죠? 명분이 있으니.
rx100조으다2014-07-01 19:20:44
▶◀revolution▶◀2014-07-01 19:29:04
추천 : 3
♂▒♨▒♀2014-07-01 19:47:40
추천 : 1
mosaic2014-07-01 19:21:13
니나많이쳐무라2014-07-01 19:21:14
줄줄이 다 망하더군요 도대체 건설사와 정부는 무슨 생각인지 모르겠어요
그저 있는 놈들 땅 팔아주고 건설사장은 먹고 튀고 그냥 한숨만
rodka2014-07-01 19:23:56
추천 : 1
하도급 문제뿐아니라 그 바닥 썩어 빠진 문화까지 다 갈아 엎어야 하는데 쉽지 않을거 같네요
(토목설계 종사자로써 애환이 많네요)
자정되지 않을때는 외국의 힘을 빌릴 수 있다면 그렇게 해야되지 않을까합니다.
예전 핸드폰업계+통신사의 농간에 놀아난 호갱님이 그나마 아이폰의 국내 출시로 어느정도 개선이 되었던것 처럼...
▶◀revolution▶◀2014-07-01 19:37:13
많이 고민해 봐야 할 문제 같습니다.
IMF외환위기 때 브로커들의 농간으로 헐값에 넘어간 회사들이 너무 많았고,
이명박정부에서도 맥쿼리 등 해외 투기자본을 마구잡이로 끌어들여서
엄청난 국가적 손실을 불러 왔으니까요.
쓰러지는 건설업체들에 대해
더이상 공적자금 투입 함부로 못하도록 공론화시켜서
부실 기업이 차근차근 정리되도록 감시하는 게
현재로선 국민 개개인이 할 수 있는 최선이 아닐까.. 싶고요.
정권이 제대로 바뀌고 난 후엔 강하게 압력 넣어서
건설업계 정리하고 제재를 가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겠지요.
71년식한국남자2014-07-01 19:54:35
외국 자본유입은 선택이 아니라 IMF의 필수엿습니다
제임스최한2014-07-01 19:24:53
차입경영이라고 보여 집니다
그러니 조그마한 어려움에도 휘청대는 것 같습니다
한번해야것쥐2014-07-01 19:27:53
▶◀revolution▶◀2014-07-01 19:30:34
추천 : 3
반박할 만한 근거도 없이 "오버ㅋㅋ" 거리기나 하고 ㅉㅉㅉㅉ
소혹성12242014-07-01 19:32:20
♂▒♨▒♀2014-07-01 19:49:42
추천 : 2
前토목과장_JB2014-07-01 19:31:30
teddymin2014-07-01 19:36:16
안망하는게 이상하지..
아파트나 빌딩 하나 세우면 적어도 20년 정도는 가는데..세우고 세우소 이제 포화 상태 아니겠냐?
그리고 우리나라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에 어느정도 균형이 맞아야 하는데..
중소기업 혹은 중소 건설사들이 틈세시장 만들어 놓으면 대기업들 가만히 보고 있다가 타이밍봐서 다 점령해 버리는데 버틸수나 있겠냐?
온갓 규제는 대기업 기준으로 만들어 놓으니..
중소기업들 살겠다고 편법쓰다가 근로기준법 세법 노동법 법 법 법 앞에서 망하는건 시간 문제..
물론 중소기업의 편법을 잘했다는건 아니지만 그들이 편법을 쓸수밖에 없었는지에 관한 내용은 알려고 하지 않는다.
silkroad72014-07-01 19:36:24
잘보고 갑니다.....
샤킴2014-07-01 19:50:50
개인적으로 부동산 현실태의 값은 인천이라 생각드는데...
요즘 인천 아파트 어떤가요? 작년만 해도 미분양의 결정체였는데 ㅋㅋ
71년식한국남자2014-07-01 19:59:21
좋은 제품팔고 자기돈 없으면 계열사 못만들어요 지금은 개나소나다 법인이고 이 법인에 다른 법인들이 3-4개 기본입니다.
우리나라 역대 최대의 사기가 바로 대우.. 한나라당 국가부도 내고 망하니까 바로 무너진것이 대우... 전세계에 공장이 수두룩한 그룹이 그냥 공중분해?어요
이게 규제가 없기 때문에 그리된거에요
저 기업들은 최대의 이윤이 아니라 도둑질을하고 매 사업마다 한탕볼려다 저렇게 된거에요
클로리아/LSD™2014-07-01 19:57:15
정부에서 관여할 때가 된듯요.
▶◀고소한참기름2014-07-01 19:57:20
♨크롭족♨2014-07-01 20:00:30
회사가 힘들게 버티고 있는진 좀 됫지요.. 원인이 국가의 정책때문인지 뭔진 잘 모르겠지만.. 정말 향후 몇년안에 어떻게 될지 걱정입니다
서교동주민2014-07-01 20:00:37
이제는 자본력으로 construction 이 아닌 기술집약적 engineering 으로 진출해야 그나마 살길이 보일 듯이요. 결국 중동시장인데 미국,일본,유럽 회사들에 맞서려고 하다보니 덤핑으로 공사 떠안고, 계약따위 잘 키지도 않는 중동국가들 때문에 기성금도 잘 못받아 회사는 휘청거리고, 알짜배기 수익은 원천기술 가지고 있는 GE 등이 다 먹고 있고 에헤라디야~ 모르겠다. ㅋㅋㅋ
무성욕자2014-07-01 20:06:57
▶◀豊沛之館2014-07-01 20:08:07
빠진 밑을 고치던가 버리고 새로 사던가 해야겠네요.
아드미럴2014-07-01 20:13:36
시작한지 3년정도 ?는데, 요새 군부대 계속 공사장이더군요 ㄷㄷㄷ
이미 지어진 건물들 건설사 문제로 하자도 처리 안되고...쩝
봄날상회2014-07-01 20:14:45
게다가 경영자들의 도덕성 마저 바닥이라,,,,
피박 안쓰려면 건설업계와 거래는 조심해야 ㄷㄷㄷㄷ
팽구당2014-07-01 20:15:06
정말 예전엔 상가건물에 하도급 업체들 하나씩 꼭 있을 정도 였으니 말다했죠.
꼬리둘집사♥2014-07-01 20:15:17
삼삼한심심이2014-07-01 20:19:32
특히 사대강 할때부터 심각했었겠지만... 저는 LIG 꼬리자르기 할때 엄청난 충격을 받았,,,,;;
아 정말 여긴 끝났구나.... 싶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