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출구전략 1(붕괴 촉진제-달러의 현상황) (엘도라도)
시스템 붕괴는 출구전략과 관계없이 진행됩니다.
출구전략은 시스템을 붕괴시키기 위한 명분에 불과하다 고 봅니다.
시스템 붕괴의 첫 출발이며, 미국(달러기축을 포함한 모든 불환화폐)의 붕괴를 더욱 앞당기는 촉진제로 작용을 한다고 봅니다.
출구전략 출구전략...
도대체 나아진 게 뭐가 있다고, 출구전략인가? 오히려 더 가속화해서 돈을 찍어야 되는 마당에 말입니다. 돈 찍는 것을 줄이거나 멈추기만 해도, 자전거가 넘어지듯이, 미국경제는 바로 넘어질텐 데도 말입니다.
저 단어 하나에 자산시장이 출렁이고, 주력 언론들은 호들갑입니다.
한마디로, 어처구니 없고 웃음만 나오는 코메디입니다.
자산중의 최고의 거품중의 하나는 미국채입니다.
양적완화.저금리기조 정책의 핵심은, 바로 휴지와 같은 미국채를 붙들어 매는 것입니다.
더 깊은 의미는 달러기축를 포함한 불환화폐시스템을 조금이라도 더 지속해 보려는 의도입니다. 결코 전세계 대중들을 위한 진정성있는 정책이 아닙니다.
전에는 최고의 안전자산으로 여겨져, 자연스러운 수급에 의해서 채권시스템이 유지가 되었지만, 지금은 스스로 돈을 찍어서 연준이 붙들어 주지 않으면 곧바로 전 세계 채권시스템은 곧바로 붕괴해버립니다.
즉 한마디로 돈찍기 속도를 줄이거나 멈추기만 해도 달러를 포함한 신용시스템은 급속히 무너져 내립니다. 이 시스템이 그래도 조금이라도 더 유지하려면, 지속적으로 더욱더 적극적으로 돈을 찍어내야 하는 마당에, 만약이라도 금리인상과 같은 조치가 취해져 버린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연준을 포함한)이들이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있을 까요? (당연히 알고 있겠지요.)
진실은 가려진채 전세계 경기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양적완하니 출구전략이니하면서 기대감과 공포심을 자극하는 것은, 코메디 그 자체가 아닐 수 없습니다.
상황이 이럴진데,
도대체 무슨 자신감으로 출구전략을 운운하는지 말입니다.
온세계의 모든 국가.개인 할것 없이 모든 주체가 감당하기 힘든 부채를 짊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지금까지 양적완화에 따른 자산받치기(특히 부동산)와 저금리를 효과로 인해 이자비용을 근근히 감당하면서 간신히 버텨오고 있는 이 마당에,
특히 가장 부실덩어리인 미국채와 이자비용을, 본인들이 돈을 찍어서 주고받고 하는, 이 말도 안되는 상황을 연출하면서 근근히 벼텨오고 있는 이 어려운 현시점에서 말입니다.
만약에 출구전략이 시행되어 시중금리라도 오르게 된다면, 어떠한 현상이 벌어질까? 우리 한국만 보더라도, 만약에 금리라도 오르게 된다면 빛을 잔뜩 끼고 있는 부동산, 주식시장은 어떻게 되겠는가?
아마도 레버리지를 낀 모든 자산은 순식간에 무너지면서, 경제시스템은 신속히 붕괴 될 것입니다. 뭐가 좋아진 게 있어야 출구전략을 하던지 말든지 하지 말입니다.
만약 출구전략정책을 시행한다면,
그것은 시스템붕괴에 대한 그럴싸한 명분용 단어 이외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라는 판단입니다.
즉 출구전략을 실시하던 안하던 간에, 또는 양적완화를 멈추던 더 적극적으로 하던간에 아무 관계없이 시장은 무너질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것입니다.단지 출구전략은 시스템붕괴를 더빨리 진행시키는 방아쇠와 같은 역활을 할것이다라 는 판단입니다.
------------------------------------
(미국--->달러기축을 포함한 모든 불환화폐, 신용시스템을 상징.
좀더 넓은 의미로는 자본주의시스템을 상징함.)
현재의 미국은 병원도 치료를 포기한 말기암 환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백약이 무효인 상태로 결국은 사망할 수 밖에 없다 라는 판단입니다. 단지 빨리, 천천히 죽느냐? 아니면 고통스럽게, 조금 덜 고통스럽게 마감하느냐?
미국은 천길 낭떠러지를 앞에 두고 있는, 경사가 급한 비탈길을 고속질주하는 자동차의 운명과 같다고 할 수가 있습니다. 브레이크를 밟기(출구전략)에는 너무나 경사 급합니다. 브레이크를 밟는 과 동시에 자동차는 전복되어버리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전복이 무서워 브레이크를 밟지 않는다면(양적완화를 지속함), 결국 천길 낭떨어지로 떨어져 미국이라는 자동차는 붕괴될 것입니다(하이퍼현상으로, 모든 불환화폐가 모두 불타 없어져 버림을 뜻함).
출구전략은 바로 미국이라는 자동차가 브레이크를 밟은 것과 같은 행위입니다. 미국은 브레이크를 서서히 밟던 급하게 밟던간에,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 곧바로 자동차가 전복되어 사망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경사가 너무 급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절벽에 떨어지는 것이 너무 두려워, 결국 죽는 다는 것을 알면서도, 혹시나하는 마음으로 브레이크를 밟는마면, 최후의 발악을 하는 행위와 같습니다.
한마디로 출구전략은 미국(달러기축)의 수명을 좀더 빨리 당기는 것과 같습니다. 바로 이것이 출구전략의 진실입니다.
------------------------
미국이 왜 이지경에 이르게 되었는가? 를 비유를 들어 다시 간단하게 설명을 하겠습니다.
어떤 사람(설계자.국제엘리트)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옆에 멋진 자동차(미국.또는 달러기축을 포함한 모든 불환화폐제도->모든 신용시스템을 의미)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사람은 자동차 경주를 좋아합니다.(달러 찍어내기)
그리고 어느날부터 속도를 즐깁니다.(달러를 시간이 흐를수록 더많이 찍어내기)
?
탄력을 받은 자동차는 더욱더 자가속도를 냅니다.(본원달러에 유통속도가 붙어 파생상품등 여러모습으로 전지구 구석구석까지 스며듭니다. )
그리고 강력한 드라이브를 즐기게 해주는 이 멋진 자동차는, 이 젊은이를 너무 자신감있고 즐겁게 만들어주고, 의욕적인 삶을 만들어줍니다(전세계에 퍼진 달러는 인류의 최고의 보물인 각종 귀중한 토지들, 석유자원, 식량자원등 인류에게 필수적인 각종 귀중한 실물자산등 보물등을 약탈합니다.)
탄력을 받은 이 사람은 더욱더 자동차의 속도를 높입니다. (더욱더 달러를 찍어내면서, 미국과 달러파워를 이용하여서 온갖 만행을 추구합니다.)
그러나 어느순간부터 자동차는 비탈길을 내려가고 있습니다. 이운전자는 여기서 자동차를 멈춰야만 합니다. (이시점에서 출구전략, 즉 달러찍는 것을 중지하거나 덜하거나, 금리를 인상하는 등의 적절한 달러보호 정책을 실시해야함을 의미)
그렇지 않으면 더 경사가 급해지기 때문에 전복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달러를 찍어내는 것을 그만두거나 속도를 조절해야 하는 출구전략을 시행해야 했지만, 그냥 모른채하고 달러찍는 것을 오히려 더 가속화한다--이런의미에서 달러자멸정책이라는 판단이다. 그들이 그것을 모를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제는 이미 자동차는 멈추면 곧바로 전복되어 버릴정도의 급한 경사길에 어찌할수 없는 상황에 봉착하게 됩니다.(이제는 지속적인 달러찍기로 인해서 더이상 통제할수 없는 상황에 이릅니다. 즉 시스템을 자유자재로 통제하는 범위를 벗어나 버렸고, 단지 시스템붕괴의시기만을 저울질하고 있다는 의미)
그러나 정작 중요한 것은, 비탈길의 끝은 천길 낭떠러지로 연결되어있다는 것입니다. (이제는 달러라는 시스템이 붕괴해버릴수 밖에 없는 필연적인 상황에 있음을 의미-붕괴이외에는 방법이 없다. 오로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붕괴의 방식이다.-->출구전략으로 격렬하게 붕괴하는냐, 아니면 적극적인 양적완화책으로 천천히 붕괴시키느냐의 둘중의 하나이다. 물론 출구전략후에도 지속적으로, 그리고 그때는 상상을초월하는 잔인한 방식으로 양적완화는 지속될 것이지만 말이다. 단지 최후의 하이퍼과정에 붕괴를 재촉하는 출구전략은 단지 선택의 문제이다.)
상기에서처럼, 지금 달러기축 이라는 자동차는 파괴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살기 위한 선택은 없습니다. 단지 급브레이크를 밟아소, 전복되어 미리 빨리 사망을 앞당기느냐? 아니면 그냥 미끄러져 천길 낭떠러지로 떨어지면서 천천히 죽느냐 하는 죽음에 이르는 길을 위한 선택사항 밖에 없습니다.
상기에서 밝혔 듯이,
여기서 자동차는 미국(달러기축을 포함한 모든 신용화폐제도)을 의미하고,
운전자는 설계자(국제엘리트)를 의미합니다.
중요한 것은
자동차는 어쩔 수 없이 붕괴되게 되 있지만,설계자들은 비행기에서 마치 낙하산을 타고 탈출하듯이 원하는 시점에 어디에서든지 미국이라는 자동차에서 쉽게 탈출할수 있는 노련한 탈출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이 기술은 역사를 통하여 그들의 선조들의 유전자를 통해서 체득화된 자연감각인 것입니다.
즉 이 운전자들은 미국, 달러라는 수단을 지렛대로 하여 지구촌의 엄청난 귀중한 자산을 교묘하게 탈취하고, 그리고 절벽으로 떨어지는 순간까지도 지금까지 즐겨왔던 스릴보다 더한 짜릿한 스릴을 즐기고 있는 형국과 같은 상황이 지금의 현실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한마디로 미국민들과 그들의 성실과 땀과 골수까지 담보로한 달러기축 이라는 이 멋진 자동차는 이제 버려져야 할 운명에 있다는 것입니다. 단지 버리면 그만입니다. 그들은 이제 새로운 놀이기구를 찾아서, 아니면 놀라운 그 무엇가가 준비되어있겠지요.
자 그렇다면 이 운전자들은 브레이크를 밟아서(출구전략 실시) 미국과 달러의 운명을 어느정도 건전하게 회복시킬 시점을 알고 있었을 겁니다. 시기로 하면 최소한 2000년초 부터 실시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렇지 않고 오히려 더 달러가 자연속도를 낼수 있도록(빨리사망할수 밖에 없도록 더욱더 상황을 가속화시킴) 앞당겼다고 할수 밖에 없습니다.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 이 운전자들은 달러를 원래부터 영구적인 통화로 사용하기 위해서 보다는, 대중의 자산을 탈취하기 위한 단순한 어느 한시기의 효율적인 도구로 밖에 보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달러라는 불환지폐의 속성(결국 연속될 수 없고, 결국 사망할수 밖에 없다 라는 속성) 처음부터 알고 있었다 라는 것이고,
이러한 맥락으로보면,
달러기축의 붕괴, 불환화폐 시스템의 붕괴는 원래 이 시스템을 만들었던 이 운전자들의 자멸전략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자멸전략을 유도하는 그룹과 달러기축을 좀더 유지해보려는 그룹들 간의 주도권 다툼의 과정에서 출구전략의 시행 여부도 결정된다고 봅니다.
즉, 달러를 빨리 붕괴시키느냐? 아니면 버틸때까지 버텨보느냐입니다.
하였튼
출구전략은 바로 브레이크를 밟는 행위와 똑같은 행위로, 자동차가 전복된 상태로 절벽에 떨어지는 것으로, 이미 붕괴된 상태로 절벽으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출구전략에 따른 디플레공황으로 시스템은 이미 붕괴되고 그리고 곧바로 닥칠 하이퍼로 또다시 시스템붕괴가 난도질 당한다는 의미입니다)
그것은 미국의 내장과 핏줄이 모두 붕괴되어 달러기축의 운명을 앞당기는 현상과 같다고 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