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우리가 식민지교육을 답습한 교육을 받고 학교를 다녔다는것을 자각하지 않는한 이땅에 민주주의는 오기 힘들며,
엘리트 중심의 교육을 바꾸지 않으면 안됀다는 생각을 가지게 하는 장면들입니다.
일제 시대 고교생들의 학교생활 모습 자유게시판
모교(춘천고교)의 90년사 편집일을 하며 선배님들의 항일운동 자료와 당시 학교 생활의 모습을 담은 졸업 앨범을 접하게 되었다. 필자가 본 앨범은 7회(1935년 졸업)와 12회(1940년 졸업) 선배님들의 졸업앨범이다. 이때는 일제가 만주 사변을 일으키고 이어 중일전쟁을 일으키며 미국과 일전을 앞두고 있는 세계 대전을 향해 치닫던 시대다. 일제는 학교를 병영으로 만들어 군인들처럼 군사훈련을 시켰다. 이러한 모습들이 앨범에 담겨 있다. 1940년 앨범을 보면 교사들은 모두 삭발을 하였고 대부분 군복을 입은 모습이다. 또 교사들 중 7,80%는 일인들이었다. 경주로 수학여행을 간 사진과 다양한 학예활동, 체육활동 등을 한 것을 볼 수 있었다. 학생수가 많은 지금의 앨범은 주로 인물 사진을 싣는 데 지면의 대부분을 할애하지만 당시는 학생수가 적어 앨범은 다양한 활동 모습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30년대 중반까지는 식민지 교육의 틀 안에서지만 나름 다양한 교육활동이 이루어졌으나 전쟁이 확대되면서 이런 활동은 위축되고 군사훈련과 노력동원 등으로 학생들을 내모는 일제의 광기(狂氣)가 심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래의 자료들은 1940년 졸업앨범(춘천고보 12회)에서 가져 온 자료들이다. 군사훈련의 모습을 통해 군국주의 교육이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개인 사진의 밑에 표기된 이름이 본명으로 창씨개명이 강요되기 직전임을 알 수 있다. 이 사진에 있는 선배들은 80여년전인 1935년에 고보(지금의 중고교 통합과정)에 입학한 분들이다. 생존하였다면 95세 이상으로 대부분 작고하셨을 것이다. 사진은 많은 글로 표현할 수 없는 많은 이야기를 우리에게 전하고 있다. 아래의 사진들이 일제 강점기에 식민교육을 받았던 선배들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교무실과 교사들의 모습, 교사들이 군복차림을 하고 있으며 4명 중 3명이 일인임을 알 수 있다. 이름으로 볼 때 일인 학생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옛 소양정의 모습이 보인다. 배구 경기 모습 - 일제는 체육활동을 장려했다. 체력을 길러 군에 동원할 자원을 육성하려는 목적에서였을 것이다. 현미경 관찰을 통한 생물 수업 모습 소양강에서 수상훈련 모습,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소양 1교의 모습이 보인다. 경주 수학여행 - 수학여행도 군사훈련의 일환으로 실시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체육시간 배구 수업 모습 - 학생들의 영양상태가 그리 좋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청평사로 행군을 온 모습으로 보인다. 학생들이 소풍도 군사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되었음을 알 수있다. 학생들의 목총과 배낭을 멘 행군 모습. 광기 어린 군국주의 교육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교련 조회의 모습으로 보인다. 시가지에서 군사훈련의 모습으로 보인다. |
우리 40대까지 그리고 일반시민들에게도 근대화라는 설정아래 일제식민지교육을 그대로 답습시켰습니다.
애국가가~~울리면 가슴에 손을 언고~~ 나는 자랑스러운 태극기 앞에 조국과 민족에 무궁한 영광을 위하여 몸과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할 것을 국게 다짐합니다.
이것과
일제 천왕에게 절하는 것과 과연 무엇이 바뀌었을까요...
천왕에서 나라로 바뀌었을 뿐입니다.
그안에는 개인에 존엄성과 개인에 자유 인 어머니로서의 존엄성, 아버지로서의 존엄성, 여성으로서의 존엄성, 남자로서의 존엄성
없는 것입니다.
누구는 다시 이시대를 그리워하고 다시 이렇게 되길 원하죠...
인간의 존엄성이 없는 나라... 오직 국가...과연 국가의 주체가 누구일가요... 개인의 존엄성을 가진 국민일가요...
아님 권력을 잡은 일개 개인들일까요...
깊숙히 생각해야 합니다...
아래 주소 링크 해서 보면 알것입니다. 너무 흡사해서 놀랄것입니다.
http://blog.daum.net/corea8124/13605